달을 쏘다        윤동주

번거롭던 사위(四圍)가 잠잠해지고 시계 소리가 또렷하나 보니 밤은 저윽이 깊을 대로 깊은
모양이다.
보던 책자를 책상 머리에 밀어놓고 잠자리를 수습한 다음 잠옷을 걸치는 것이다.
"딱"스위치 소리와 함께 전등을 끄고 창녘의 침대에 드러누우니 이 때까지 밖은 휘양찬 달
밤이었던 것을 감각치 못하였었다.
이것도 밝은 전등의 혜택이었을까.
나의 느추한 방이 달빛에 잠겨 아름다운 그림이 된다는 것보담도 오히려 슬픈 선창(船艙)이
되는 것이다.
창살이 이마로부터 코마루, 입술, 이렇게 하얀 가슴에 여맨 손등에까지 어른거려 나의 마음
을 간지르는 것이다.
옆에 누운 분의 숨소리에 방은 무시무시해진다.
아이처럼 황황해지는 가슴에 눈을 치떠서 밖을 내다보니 가을 하늘은 역시 맑고 우거진 송
림은 한 폭의 묵화다.
달빛은 솔가지에 쏟아져 바람인양 솨- 소리가 날 듯하다.
들리는 것은 시계 소리와 숨소리와 귀또리 울음뿐 벅쩍대던 기숙사도 절간보다 더 한층 고
요한 것이 아니냐?
나는 깊은 사념에 잠기우기 한창이다.
딴은 사랑스런 아가씨를 사유(私有)할 수 있는 아름다운 상화(想華)도 좋고, 어릴 적 미련을
두고 온 고향에의 향수도 좋거니와 그보담 손쉽게 표현 못할 심각한 그 무엇이 있다.
바다를 건너 온 H 군의 편지 사연을 곰곰 생각할수록 사람과 사람 사이의 감정이란 미묘한
것이다.
감상적인 그에게도 필연코 가을은 왔나 보다.
편지는 너무나 지나치지 않았던가, 그 중 한 토막,
'군아, 나는 지금 울며울며 이 글을 쓴다.
이 밤도 달이 뜨고, 바람이 불고, 인간인 까닥에 가을이란 흙냄새도 안다.
정의 눈물, 따뜻한 예술학도였던 정의 눈물오 이 밤이 마지막이다.'
또 마지막 켠으로 이런 구절이 있다.
'당신은 나를 영원히 쫓아 버리는 것이 정직할 것이오.'
나는 이 글의 뉘앙스를 해득할 수 있다.
그러나 사실 나는 그에게 아픈 소리 한 마디 한 일이 없고 서러운 글 한 쪽 보낸 일이 없지
아니한가.
생각컨대 이 죄는 다만 가을에게 지워 보낼 수밖에 없다.
홍안서생 (紅顔書生)으로 이런 단안을 내리는 것은 외람한 일이나 동무란 한낱 괴로운 존재
요, 우저이란 진정코 위태로운 잔에 떠 놓은 물이다.
이 말으 반대할 자 누구랴.
그러나 자기 하나 얻기 힘든다 하거늘 알뜰한 동무 하나 잃어버린다는 것이 살을 베어 내는
아픔이다.
나는 나를 정원에서 발견하고 창을 넘어 나왔다든가 방문을 열고 나왔다든가 왜 나왔느냐
하는 어리석은 생각에 두뇌를 괴롭게 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다만 귀뚜라미 울음에도 수줍어지는 코스모스 앞에 그윽이 서서 달터 삐링스의 동상 그림자
처럼 슬퍼지면 그만이다.
나는 이 마음을 아무에게나 전가시킬 심보는 없다.
옷깃은 민감이어서 달빛에도 싸늘히 추워지고 가을 이슬이란 선득선득하여서 서러운 사나이
의 눈물인 것이다.
발걸음은 몸뚱이를 옮겨 못가에 세워 줄 때 못 속에도 역시 가을이 있고, 삼경(三更)이 있
고, 나무가 있고, 달이 있다.
그 찰나, 가을이 원망스럽고 달이 미워진다.
더듬어 돌을 찾아 달을 향하여 죽어라고 팔매질을 하였다.
통쾌! 달은 산산이 부서지고 말았다.
그러나 놀랐던 물결이 잦아들 때 오래잖아 달은 도로 살아난 것이 아니냐, 문득 하늘을 쳐
다보니 얄미운 달은 머리 위에서 빈정대는 것을.....
나는 곳곳한 나뭇가지를 고나 띠를 째서 줄을 메워 훌륭한 활을 만들었다.
그리고 좀 탄탄한 갈대로 화살을 삼아 무사(武士)의 마음을 먹고 달을 쏘다.

'한국문학 > 윤동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동주 간  (0) 2020.07.03
윤동주 눈  (0) 2020.06.30
윤동주 귀뚜라미와 나와  (0) 2020.05.29
윤동주 편지  (0) 2020.05.27
윤동주 소년  (0) 2020.05.21
Posted by t min
,